반응형

PLC siemens 기초- 정리 25

9강 Siemens PLC 기초. comaparator, move

comparator 비교 >< ≠ = ≤ ≥ 같은 것들 수학에서 보는 비교기와 같은 의미고, 같은 해석. integer 정수 16 bit (word) d integer 더블 인티저 32 bit ( d word) real 32 bit (d word) IEEE 754 소수점을 넣을 수 있음. (=) 설명 즉 십게말해 mw100번과 200번의 값이 같을 때 m10.0 라이트가 들어온다. mW100 = 0 , mW102 = 0 -> M10.0 ON 결과. 여기서 100번 다음에 102번으로 가는 이유가 control Alt R 클릭 여기서 assignment 클릭 워드단위가 2줄씩이라 16비트 중복되어서 100번 다음에 102번으로 이동. MOVE는 쉽게 말해 앞에 in 값에 어떠한 숫자를 넣는다면 out에 그..

6. simense plc 1500 set-reset

자기 유지 회로 set과 reset 으로 자기유지회로를 만들 수 있다. bit logic operation 에서 set reset 만들기 m10.1 로 같은 태크 사용 셋과 리셋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코일을 중복되게 사용 x 앞에서 m10.1을 썻는데 뒤에서도 10.1을 쓸 수 없다. 중복이되면 2중코일이되서 동작이 안됨 그러나 set, reset에서는 가능함 여기서 회로 해석은 pb3은 set on 자기유지를 함 pb4 는 reset을 on 하는 신호 그렇기에 회로를 죽임. 즉 set이 만든 자기유지를 죽여버림. 이렇게 만들거나 자기회로를 유지해도됨.

5. plc simense 타이머

자기 유지 회로를 하나 만들어준다. pb1 누르고 스타트 m10.0이(내부 메모리) on 이되고 pb1 하단에 접점을 유지해서 close로 바뀌어 접점 유지. pb1 스위치를 안눌러도 회로가 유지가됨 m10 접점이 살이 있기때문에, 램프를 on 시킴. hmi로 이동 root screen 우측의 elecment 스위치를 사용해야 복귀형 푸쉬버튼을 만들 수 있음. property로가서 설정 가능. event 로 이동 속성 부여 edit bit set bit while pressed 선택 복귀형 푸쉬버튼. 태그 지정 pb1 설정을 넣고 추가가 되면 상단의 사진처럼 run 표시가 뜸. 버튼을 스탑과 스타트 만든 후 plc cpu 클릭 후 시뮬레이터 스타트. hmi 도 선택 후 시뮬레이터 -------------..

4. simense plc 1500 HMI project

1. connection 연결 2. screen layout 설정 화면 구성 조정 3. 알람 기능 - 보통 문제가 생겼을때 사용한다고 생각 4. 페이지에 스크린 구성 5. 시스템 스크린 6. 버튼 추가적으로 필요할시 추가 가능. 다하고나면 이런 화면이 뜸 우측 베너에서 필요한것을 선택하면됨. 화면에 스위치가 만들어지면 스위치를 더블클릭 테그 설정 tag선택을하면 hmi 프로잭트를 보여주지만, 연동하기위해 plc태그를 선택 값을 입력하면 좌측에 plc 1 cpu를 클릭한후 시뮬레이터 스타트 실행. 다하고나면 hmi도 시뮬레이터를 해준다

반응형